DataBase

데이터 모델링

autumn-code 2024. 10. 22. 16:02

데이터 모델링 이란?

  1.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고나점의 업문 분석 기법
  2. 현실 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과정
  3.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의 과정

 

데이터 모델링의 특징

  1.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한느 추상화의 의미를 가짐
  2. 시스템 구현, 업무분석, 업무 형상화의 목적이 있음
  3. 복잡한 ㅎ녀실을 제한된 언어나 표기법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하는 단순화의 의미를 가짐
  4. 애매모호함은 배제하고 누구나 이해 가능하도록 정확한 현상을 기술하는 명확화의 의미를 가짐

데이터 모델링의 유의점

  1. 중복 
    1.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장소에 같은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함
  2. 비유연성
    1. 데이터의 정의를 데이터의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
    2. 데이터 혹은 프로세스의 작은 변화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잇는 가능성을 낮춤
  3. 비일관성
    1. 데이터의 중복이 없더라도 비일관성은 발생할 수 있음
    2. 데이터와 데이터간의상호 연관 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함
    3. 사용자가 처리하는 프로세스 혹은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테이블의 연계성을 높이는 것은 데이터 모델이 업무 변경에 대해 취약하게 만드는 단점이다

 

데이터 모델링 단계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이란
비즈니스를 파악하여 업무 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데이터 모델링을 정의함
  • 추상화 수준이 높음
  • 복잡하게 표현하지 않고 중요한 부분을 위주로 모델링
  • 기술적인 용어는 최소화함
  • 엔티티와 속성을 도출하고 ERD 작성 단계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개념적 모델링을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게 변환하는 작업
  • 식별자는 도출하고 고나계, 속성 등을 정의
  • 정규화를 통해 독립성을 확보하고 재사용성을 높임
  •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음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 테이블 , 인덱스, 함수 등을 생성
  • 성능, 보안, 가용성 등 물리적인 성격을 고려

 

스키마 3단계 구조

스키마란?
사용자, 설계자,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보는 고나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기술하고 관계를 정의하는 표준
3단계 스키마는 데이터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출처 : https://velog.io/@waterglasses_k

  • 논리적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돼도 외부스키마는 영향이 없음
  • 물맂거 독립성 : 내부스키마가 변경돼도 개념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음

 

외부 스키마 : 사용자 관점

  • 업무상 관련이 있는 데이터 접근이며,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한느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함

개념 스키마 : 설계사 관점

  •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조직 전체 관점의 통합적 표현
  • 데이터 모델링은 통합 관점을 가지고 이는 개념스키마를 만들어가는 과정

내부스키마 : 개발자 관점

  •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저장 구조
  • 데이터 저장구조, 필드 정의, 인덱스 등을 의미함
  •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에 종속적임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 vs EXISTS vs INNER JOIN  (1) 2024.11.06
데이터 모델과 SQL  (0) 2024.10.29
엔터티(Entity)  (2) 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