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6)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1. 이더넷이란?이더넷은 현대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이에요.1983년 IEEE 802.3 표준으로 제정되었고, 네트워크의 물리 계층(케이블, 장비)과 데이터 링크 계층(MAC, 프레임 규칙)을 정의하고 있어요.즉, “컴퓨터와 컴퓨터가 케이블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어떻게 주고받을지 를 정해놓은 약속”이라고 보면 됩니다. 2. 이더넷 표기 방식케이블 규격이나 속도를 보면 100BASE-T 같은 형태를 많이 보셨을 거예요. 이게 바로 이더넷 표기법입니다.속도 (앞 숫자)10 → 10Mbps100 → 100Mbps (Fast Ethernet)1000 → 1Gbps (Gigabit Ethernet)10G → 10GbpsBASEBaseband의 ..
[네트워크]Network Address,Host Address, Broadcast Address (NA/HA/BA) 1. Network Address (네트워크 주소, NA)정의네트워크 자체를 식별하는 주소실제 호스트(PC, 서버 등)에는 할당되지 않음Host ID 부분이 전부 0인 주소특징네트워크 범위에서 가장 작은 IP 2. Host Address (호스트 주소, HA)정의실제 호스트(PC, 서버, 장치)에 할당 가능한 주소**네트워크 주소(0)와 브로드캐스트 주소(1) 사이 값들특징범위: 네트워크주소 호스트 주소 3. Broadcast Address (브로드캐스트 주소, BA)정의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에게 동시에 패킷을 전달하는 특수 주소실제 호스트에는 할당되지 않음Host ID 부분이 전부 1인 주소특징네트워크 범위에서 가장 큰 IP예시 문제IP 주소: 200.200.200.200클래스: C 클래스 (기본 넷..
[네트워크] NetMask NETMASK란? Netmask(네트워크 마스크) 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영역(Network ID)과 호스트 영역(Host ID)으로 구분하기 위해 쓰는 32비트 값입니다.IP 주소와는 다르며, 오직 네트워크 구분을 위해 사용됩니다 특징 32비트로 구성IP 주소와 동일하게 32bit(4옥텟, 8bit × 4)로 표현됨.하지만 “주소”가 아니라, **경계선(마스크 역할)**을 정의하는 값.연속된 1과 0으로 구성1(One bit) : 네트워크 ID 부분0(Zero bit) : 호스트 ID 부분1이 끝나고 0이 시작되는 지점이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하는 경계선.Netmask : 255.255.255.02진수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앞의 24bit(1)는..
[네트워크] IP Address 및 클래스 IP Address란?네트워크에서 장치(Host)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유한 번호인터넷 상에서 각 장치를 구분하는 주소 역할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에서 관리IP 주소는 IPv4와 IPv6 두 가지 버전이 있음IPv4 주소크기: 총 4 Byte(32bit)표현 방식: 4개의 옥텟(Octet)으로 구분1 Byte = 8bit → 1 옥텟옥텟과 옥텟 사이를 온점(dot, “.”) 으로 구분예: 192.168.0.1표현 진법: 사람이 보기 쉽게 10진수로 표기주소 개수: 2³² ≈ 약 42억 9천만 개문제점: 인터넷 확산으로 인해 주소 고갈 발생 IPv6 주소IPv4의 주소 고갈 문제를 ..
[네트워크] TCP/IP 모델 TCP/IP 모델 개요정의: 인터넷 프로토콜 집합(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 구조이다.특징: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표준이며, OSI 7계층과 달리 4계층 구조로 단순화되어 있다.계층: 응용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으로 구성된다.TCP/IP 계층 OSI 계층 역할 및 기능 주소 대표 프로토콜TCP/IP OSI 설명응용 계층 (Application)응용 계층 (Application)표현 계층 (Presentation)세션 계층 (Session)사용자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형식 변환, 세션 관리까지 모두 포함전송 계층 (Tra..
[네트워크] IP 주소와 MAC 주소의 차이 네트워크 통신에서 목적지를 지정하고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주소 체계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IP 주소와 MAC 주소이다. 두 주소는 모두 ‘어디로 보낼 것인가’를 나타내지만, 역할과 쓰임새가 다르다.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논리적 주소네트워크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DHCP를 통해 자동 할당네트워크 상에서 통신 대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냄네트워크 구간이 달라질 때마다 변경될 수 있음역할: 네트워크 상 목적지 지정, End-to-End 경로 설정ex) 192.168.0.10, 10.0.0.5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물리적 주소 (하드웨어 주소)네트워크 카드(NIC)에 고유하게 부여됨 (제조 시 각인)LAN(Loc..
[네트워크] 네트워크 Module과 Layer 1. Layer (계층 구조)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3계층 구조로 설계된다.Access Layer사용자 단말(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이 직접 연결되는 구간스위치, 무선 AP 등의 장비가 위치역할: 단말 접속 및 네트워크 진입점 제공Distribution Layer여러 Access Layer를 집약하고 관리하는 구간라우팅, VLAN 간 통신, 보안 정책(ACL) 등의 기능 수행역할: 정책 적용 및 트래픽 제어Core Layer네트워크 전체를 연결하는 고속 백본(backbone) 구간고속 전송과 안정성이 핵심역할: 단순하고 빠른 데이터 전달2. Module (모듈)모듈은 네트워크를 기능 단위로 나누어 설계하는 개념이다.ex)보안 모듈 (방화벽, IPS)무선 모듈 (Wi-Fi 인프라)WAN 모듈 (인터넷/..
[네트워크] 교환 시스템(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메세지 교환 시스템 교환 시스템이란, 상대방과 나의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전용 회선 방식과 교화 회선 방식이 있다 회선 교환 방식(curcuit switching)회선 교환 방식은 노드가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 메세지 전송로인 회선을 설정하고 메세지를 주고 받는 방식전용선 할당 점유회선 교환방식으로 음성 전화 시스템에 사용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함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패킷 교환 방식은 메세지를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쪼개어 전송하는 방식여러 경로를 이용가능(패킷별로 최적의 경로 선택)송신 패킷의 순서와, 수신 패킷의 순서가 다를 수 있음전송 속도 및 흐름제어가 가능에러 탐지가 가능요즘 사용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망에서 사용공유가 가능 메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