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6)
Font Font웹 폰트로컬 컴퓨터에 폰트 설치 여부와 상관없이 온라인 특정 서버에 폰트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화면이 표시해주는 웹 전용 폰트입니다.폰트 종류EOT(Embedded Open Type) : 익스프로러 6~8에서 사용하는 웹 폰트 방식입니다.TTF(True Type Fonts)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해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된 글꼴 표준입니다.OTF(Open Type Fonts) : 마이크로소프트 컴퓨터 기본 글꼴입니다.WOFF(The Web Open Font Format) : W3C에서 추천하는 글꼴 형식 입니다.WOFF2(The Web Open Font Format) : WOFF에서 향상된 글꼴입니다.SVG : 백터 방식의 글꼴 형식입니다.폰트 호환성IECHROMEFIREFOXSAPARIOP..
Emmet EmmetEmmet은 HTML,CSS의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입니다.바로가기 Emmet의 문법문법예제설명>div>ul>li여러개의 요소를 한번에 만들 때(child)+div+p형제 요소를 한번에 만들 때(sibling)^div^span부모 요소를에 추가하여 만들 때(climb-up)()(ul>li>a)+div그룹화하여 순서를 정할 때(Grouping)*div>ul>li*5원하는 개수를 설정할 때(multiplickation)$div>ul>li.img$*5넘버를 순차적으로 적용할 때(Numbering)##wrap.div아이디와 클래스 속성 설정 할 떄[]td[rowspan="2"]요소의 속성 값을 설정 할 때{}ul>li{header}텍스트 요소를 추가 할 때 설정div>ul>..
HTML HTML ReferenceHTML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언어 입니다.HT = HyperText : 문서와 문서를 연결M = Markup : 마크업, 태그L = Languate : 언어HTML이란? 문서와 문서로 연결된 태그 언어를 말합니다.HTML은 문서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그래픽, 문서이동(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명령어로서 홈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쓰인다. HTML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태그(tag)라고 하는데 꺽쇠괄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태그는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2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img", "br"등의 태그와 같이 시작태그만으로 그 영향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종료 태그의 이름은 슬래시 문..
기획콘셉트 정하기(기본 콘셉트 설정) 기본 콘센트 설정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해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콘셉트를 정할 수 있다.1.기본 콘셉트 설정프로젝트 기획을 기반으로 콘셉트의 범위를 정하고, 디자인 기본 형태 설정 과정을 통해 시각화를 진행한 후 최종 기본 콘셉트를 정한다.가능하다면 해당 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 평소 스마트문화콘텐츠를 자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기본 콘셉트 설정에는 기본적으로 다음 내용들이 포함되도록 한다.제시된 기본 요소 외에도 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문화콘텐츠의 콘셉트에 따라 다양한 요소를 적극적으로 구체화하고 확장해야 한다.콘셉트는 자세하고 명확할수록 좋으며, 이는 보다 우수한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
기획 콘셉트 정하기(디자인 기본 형태 설정) 1. 디자인 기본 형태의 이해프로젝트 기획서를 바탕으로 콘셉트를 구체화하고 확장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병행되어야 하는것이 ‘시각화’이다. 스마트문화콘텐츠는 대부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시각적인결과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콘셉트가 요구하는 내용과 방향에 맞는 시각적 요소들이 반드시개발되어야 한다.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의 사례를 살펴보자.‘뽀롱뽀롱 뽀로로’의 제작사 오콘의 김일호 대표의 인터뷰에 따르면 평범한 옆집 아이 같은 꼬마펭귄으로 캐릭터 콘셉트를 정한 후 7~8명의 디자이너들과 함께 천 장 이상의 캐릭터 디자인스케치를 했고, 그러는 중에 비행사가 되고 싶어 하는 펭귄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떠올라서비행 모자와 비행 안경을 쓴 뽀로로의 디자인이 탄생했다고 한다. 이어서 뽀로로의 친..
기획 콘셉트 정하기(콘셉트 범위 설정) 1. 콘셉트의 이해‘콘셉트’는 문화 산업분야 전반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한 의미 외에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콘셉트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보자.2. 프로젝트 기획서 분석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문화콘텐츠의 기본적인 콘셉트는 프로젝트를 기획하면서 알게 모르게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콘셉트를 정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앞서 작성한프로젝트 기획서를 검토하고 프로젝트 기획서 안에 이미 녹아 들어 있는 콘셉트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리고 발견한 콘셉트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확장 및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겨울왕국(Frozen)’의 사례를 살펴보자. 이 작품 은 덴마크의 작가 안데르센의 동화 ‘눈의 여왕(The Snow Queen)’을 원작으로..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선정)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선정스마트문화콘텐츠에 적합한 문화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스마트 기기 이용 실태 파악스마트문화콘텐츠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대중을 위해 만드는 것이다.대중의 요구와 취향을 고려하지 않고 개인적인 즐거움만을 위해 제작한 것은 스마트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없다.그렇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스마트 기기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문화콘텐츠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스마트 기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검색만으로도 다양한 자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다.출처가 불분명한 자료보다는 가급적 출처가 명확하고 공신력이 있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찾아서 살펴본다.한국인터넷진흥원이 조사한 스마트폰 이용 실태 조사 자료를 보면, 스..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활용 예측) 1. 스마트 기기의 특성스마트문화콘텐츠는 최종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소비자와 만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최종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 기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특성에 맞춰 스마트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때 보다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1) 스마트 기기의 긍정적 특성 스마트 기기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인터페이스 덕분에 별다른 훈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강력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고있으며, 내장된 카메라를 활용해 사용자가 직접 멀티미디어를 제작할 수도 있다.앱 마켓을 통해 다양한 앱을 공급받아 자유롭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고, 언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웹서핑, 뉴스, 메일, 채팅, 온라인 게임 등을 상시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