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콘텐츠의 이해
문화 콘텐츠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사람들이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여러가지 것들을 두루 가리키는 표현이다. 대쵸적인 것으로 소설, 만화, 음악, 게임 ,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등이 있다.
문화 콘텐츠의 분류
문화콘텐츠의 의미와 범위가 아직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문화콘텐츠의 분류 에도 다양한 의견이 있다.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방송, 영화. 게임, 음악, 애니메이션, 만화, 출판, 엗듀테이먼트, 캐릭터, 공연, 광고 , 모비일 콘텐츠 솔류션. 지식 정보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등이있다. 이중 스마트 앱 문화콘텐츠 로 적합합한 것들을 선별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방송 콘텐츠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통해 영상 또는 음향을 송출하는 것을 방송이라고 한다 대쵸적인 예로 텔레비전 드라마, 예능프로그램, 교양프로그램, 라디오, 음악프로그램 , 라디오 드라마 등이 있다. 방송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주체는 KBS, MBC,SBS등과 같은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 지역 유선 방송, 위성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방송되는 뉴미디어 방송등이 있으며 학교에서 운영하는 교내 방송도 이에 포함된다.
2.영화 콘텐츠
과거 영화의 개념은 영화관애서 관람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독립된 완결성을 가지는 영상물이었지만, 영화 제작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하나의 이야기를 여러 편으로 나눠서 만드는 시리즈 영화, 텔레비전 방송용 영화, 비디오 및 DVD용 영화, 인터넷 방송용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의 인기를 힘입어 드라마의 후속편으로 만들어지는 영화등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3.게임 콘텐츠
PC와 게임기 등을 통해 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오락물을 게임이라고 한다. 게임은 플랫폼에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오락실에서 즐기는 아케이드 게임, 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 같은 가정용 게임기로 즐기는 콘솔 게임, PC로 즐기는 PC용 게임, 휴대 전화 등과 같은 기기로 즐기는모바일 게임 등이 있다.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와 같은 스마트 기기로 즐기는 게임은 ‘스마트게임’이라고 따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4.음악 콘텐츠
대중가요, 클래식, 재즈, 락앤롤, R&B, 종교 음악, 동요 등 모든 음악 장르를 음악 콘텐츠라고한다. 과거에는 LP, 테이프, CD 등과 같은 음반 매체를 통해 음악이 유통됐지만, 디지털 기술과됐다. 마니아들을 위한 CD 제작 및 판매가 유지되고 있지만, 일반 소비자들은 이제 대부분 디지털파일을 구매하거나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음악을 청취하고 있다.
5.애니메이션 콘텐츠
애니메이션은 여러 장의 연속적인 그림을 빠른 속도로 차례대로 보여 주면 그림이 움직이는 것같은 착시 효과가 일어나는 것을 이용해 만드는 영상 콘텐츠이다. 애니메이션에는 셀이라고 불리는 투명한 필름에 그림을 한 장씩 그려서 제작하는 셀 애니메이션, 인형과 같은 조형물을 조금씩움직이면서 사진을 찍어 제작하는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컴퓨터 그래픽으로 제작하는 CG 애니메 이션 등이 있다.
6.만화 콘텐츠
문학과 미술을 특징적인 구성과 연출로 결합해 만드는 만화는 가장 대중적인 콘텐츠로 주목받는콘텐츠이다. 전체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 산업 중 하나로 거론되곤 한다.
7.출판 콘텐츠
출판 콘텐츠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소설이다. 소설 외에도 시, 수필, 인문서, 여행서, 전문서, 교과서, 참고서 등이 있으며, 신문과 잡지 등도 출판 콘텐츠에 포함된다
8.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는 에듀케이션(education: 교육)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오락)를 조합하여 만든 단어로, 여러 가지 형태의 재미있는 게임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있도록 해 주는 콘텐츠를 가리킨다. 최근에는 개념이 확장돼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연극,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괄해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9.광고 콘텐츠
광고는 불특정 다수에게 어떤 것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것을 말한다. 짧은 시간 안에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인상적이고 자극적인 요소를 활용하는 특징이있다.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스타 배우, 미남 미녀, 어린이, 동물, 자연 등의 시각적 요소와음악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대중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해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10.기타 콘텐츠
스마트 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 기기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 고 있다.대표적인 사례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편리하게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카카오톡과 같은 것이있다. 카카오톡은 여러 사용자들이 간편하게 서로 접촉할 수 있는 환경만 제공하고, 콘텐츠는사용자들이 그 환경을 이용해 스스로 만들어 나가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카카오톡과 연계되어 서비스되는 ‘카카오로 게임하기’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게임을 쉽게 즐기고 친구들에게 추천해 함께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카카오톡이 채팅을 중심으로 개인 대 개인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둔 서비스라면 네이버 밴드는 게시글을 중심으로 폐쇄된 그룹 커뮤니케이션에중점을 두고 서비스된다. 밴드 역시 환경만 제공하고 콘텐츠는 사용자들이 스스로 만들도록 한다.트위터와 페이스북도 같은 개념으로, 업체는 환경만 제공하고, 이용자들이 스스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ign > 콘텐츠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선정) (0) | 2024.08.28 |
---|---|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활용 예측) (0) | 2024.08.28 |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도출) (0) | 2024.08.28 |
문화콘텐츠 분석하기(스마트 문화콘텐츠 가능성 분석) (0) | 2024.08.28 |
문화콘텐츠 분석하기(1-2 문화콘텐츠 산업 현황 파악) (0)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