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콘텐츠 기획 9

기획콘셉트 정하기(기본 콘셉트 설정)

기본 콘센트 설정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해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콘셉트를 정할 수 있다.1.기본 콘셉트 설정프로젝트 기획을 기반으로 콘셉트의 범위를 정하고, 디자인 기본 형태 설정 과정을 통해 시각화를 진행한 후 최종 기본 콘셉트를 정한다.가능하다면 해당 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 평소 스마트문화콘텐츠를 자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기본 콘셉트 설정에는 기본적으로 다음 내용들이 포함되도록 한다.제시된 기본 요소 외에도 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문화콘텐츠의 콘셉트에 따라 다양한 요소를 적극적으로 구체화하고 확장해야 한다.콘셉트는 자세하고 명확할수록 좋으며, 이는 보다 우수한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

기획 콘셉트 정하기(디자인 기본 형태 설정)

1. 디자인 기본 형태의 이해프로젝트 기획서를 바탕으로 콘셉트를 구체화하고 확장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병행되어야 하는것이 ‘시각화’이다. 스마트문화콘텐츠는 대부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시각적인결과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콘셉트가 요구하는 내용과 방향에 맞는 시각적 요소들이 반드시개발되어야 한다.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의 사례를 살펴보자.‘뽀롱뽀롱 뽀로로’의 제작사 오콘의 김일호 대표의 인터뷰에 따르면 평범한 옆집 아이 같은 꼬마펭귄으로 캐릭터 콘셉트를 정한 후 7~8명의 디자이너들과 함께 천 장 이상의 캐릭터 디자인스케치를 했고, 그러는 중에 비행사가 되고 싶어 하는 펭귄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떠올라서비행 모자와 비행 안경을 쓴 뽀로로의 디자인이 탄생했다고 한다. 이어서 뽀로로의 친..

기획 콘셉트 정하기(콘셉트 범위 설정)

1. 콘셉트의 이해‘콘셉트’는 문화 산업분야 전반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한 의미 외에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콘셉트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보자.2. 프로젝트 기획서 분석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문화콘텐츠의 기본적인 콘셉트는 프로젝트를 기획하면서 알게 모르게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콘셉트를 정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앞서 작성한프로젝트 기획서를 검토하고 프로젝트 기획서 안에 이미 녹아 들어 있는 콘셉트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리고 발견한 콘셉트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확장 및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겨울왕국(Frozen)’의 사례를 살펴보자. 이 작품 은 덴마크의 작가 안데르센의 동화 ‘눈의 여왕(The Snow Queen)’을 원작으로..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선정)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선정스마트문화콘텐츠에 적합한 문화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스마트 기기 이용 실태 파악스마트문화콘텐츠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대중을 위해 만드는 것이다.대중의 요구와 취향을 고려하지 않고 개인적인 즐거움만을 위해 제작한 것은 스마트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없다.그렇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스마트 기기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문화콘텐츠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스마트 기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검색만으로도 다양한 자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다.출처가 불분명한 자료보다는 가급적 출처가 명확하고 공신력이 있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찾아서 살펴본다.한국인터넷진흥원이 조사한 스마트폰 이용 실태 조사 자료를 보면, 스..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활용 예측)

1. 스마트 기기의 특성스마트문화콘텐츠는 최종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소비자와 만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최종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 기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특성에 맞춰 스마트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때 보다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1) 스마트 기기의 긍정적 특성 스마트 기기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인터페이스 덕분에 별다른 훈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강력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고있으며, 내장된 카메라를 활용해 사용자가 직접 멀티미디어를 제작할 수도 있다.앱 마켓을 통해 다양한 앱을 공급받아 자유롭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고, 언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웹서핑, 뉴스, 메일, 채팅, 온라인 게임 등을 상시적으로 ..

문화콘텐츠 선정하기(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도출)

아이디어 발상 과정지식과 경험이 있다고 해서 곧바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는 않는다.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자극하고 혼합해 아이디어로 구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방법은 개인마다 다르다. 계속 집중하고 몰입함으로서 결국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유형도 있고, 상관없는 다른 일을 하다가 갑자기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유형도 있다. 충분하게 휴식을 취해야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유형도 있고, 반대로 극한까지 자신을 몰아붙여 극심한 피로감을 느낄 때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유형도 있다. 조용한 곳에서 혼자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는 유형이 있는 반면,사람과 왁자지껄하게 이야기를 나눠야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유형도 있다. 명상하듯 가만히 있어야좋은 생각이 떠오르는 유형도 있고, 몸을 움직일..

문화콘텐츠 분석하기(스마트 문화콘텐츠 가능성 분석)

1. 문화콘텐츠 산업의 전망고부가 가치 미래 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연구는 국내뿐 아니라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해외에서 연구된 중요 연구 결과들이 꾸준하게 번역돼국내에 소개되고 있다. 특히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콘텐츠 산업 백서’ 에우선적으로 참고할 만한 중요 자료들이 번역 ․ 수록돼 있어 참고하기에 적절하다.2009년 세계적인 금융 위기의 여파로 잠시 하락을 하기는 했지만, 세계적인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는 꾸준하게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전망도 긍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방향우리나라 문화콘텐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의 결과, 국내 시장뿐 아니라 ..

문화콘텐츠 분석하기(1-2 문화콘텐츠 산업 현황 파악)

1.문화콘텐츠 산업 이해‘문화콘텐츠 산업’은 문화콘텐츠를 활용해 경제적 효과를 추구하는 여러 가지 산업 활동을 두루가리키는 표현이다. 혼동하기 쉬운 비슷한 표현으로 ‘문화 산업’과 ‘콘텐츠 산업’이 있는데, ‘문화산업’은 문화적인 요소를 활용한 모든 산업을 통칭하는 말로, 문화콘텐츠 산업보다 더 넓은 범위를포괄하는 상위의 개념이고, ‘콘텐츠 산업’은 문화적인 요소들을 제외한 단순 정보까지 포괄하는개념이기 때문에 ‘문화콘텐츠’ 산업과 일정 부분 겹치는 부분과 겹치지 않는 부분이 있는 인접산업 분야이다. 여기에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한 표현인 ‘문화 기술 산업(culture technology)’이라는 표현도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문화콘텐츠 산업’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현으로, 미국에서는 오..

문화콘텐츠 분석하기(문화콘텐츠 관련 자료조사 및 분류)

문화 콘텐츠의 이해문화 (문화 :culture) + 콘텐츠(contents) = 문화 콘텐츠(culture contents)문화 콘텐츠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사람들이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여러가지 것들을 두루 가리키는 표현이다. 대쵸적인 것으로 소설, 만화, 음악, 게임 ,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등이 있다.문화 콘텐츠의 분류문화콘텐츠의 의미와 범위가 아직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문화콘텐츠의 분류 에도 다양한 의견이 있다.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방송, 영화. 게임, 음악, 애니메이션, 만화, 출판, 엗듀테이먼트, 캐릭터, 공연, 광고 , 모비일 콘텐츠 솔류션. 지식 정보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등이있다. 이중 스마트 앱 문화콘텐츠 로 적합합한 것들을 선..